“살 진짜 많이 쪘는데도 처방 안 해줘요?” 위고비·마운자로 처방 기준 총정리 (BMI, 당뇨 여부, 병원별 차이)

위고비·마운자로 처방 기준이 궁금하신가요? BMI 27 이상이면 무조건 처방 가능할까? 당뇨 없으면 못 받는지, 실제 처방 거절당하는 이유와 잘해주는 병원 유형까지 정리했습니다.



✅ 위고비·마운자로 처방 기준 정리

두 약물 모두 GLP-1 계열의 체중 감량 주사제로,
대한비만학회와 식약처 기준에 따라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만 의학적 처방이 가능합니다.

1. 위고비(Wegovy) – 주 1회 주사제

항목기준
BMI 30 이상처방 가능 (비만 단독 기준)
BMI 27 이상 + 대사질환 1가지 이상처방 가능 (복합기준)

대사질환 예: 고혈압, 고지혈증, 당뇨, 수면무호흡증, 다낭성난소증후군 등


2. 마운자로(Mounjaro) – 주 1회 주사제 (티르제파타이드)


항목기준
국내 비만 적응증은 없음 (2025년 현재)→ 당뇨병 치료제로만 처방 가능
제2형 당뇨병 + BMI 25 이상처방 가능
(비만 단독 처방 ❌)

📌 즉, 마운자로는 당뇨병 환자만 처방 가능하며, 체중 감량 목적의 단독 처방은 현재 허가되지 않았습니다.


❗“BMI 27 넘었는데 왜 처방 안 해주나요?” → 이유는?

  1. ‘대사질환 동반’ 여부를 확인해야 함
    BMI 27~29 사이인 경우에는 고혈압/고지혈증/지방간 등 동반 질환이 없으면 처방이 어려움
  2. 의사의 기준 차이
    같은 조건이어도 병원에 따라
  • “건강검진상 고지혈증 소견 있음 → 처방 OK”
  • “아직 질병 진단 안 됨 → 처방 보류”
    처럼 적용 방식이 달라질 수 있음
  1. 보험/법적 리스크 우려로 보수적인 병원 존재
    일부 병원은 GLP-1 계열 약물 처방에 신중한 입장
    → 서류상 요건이 모호하면 처방 거절

✔ ‘찐 비만’인데도 처방 못 받는 사람들 특징

  • BMI 28인데, 건강검진은 이상 없음
  • 체형상 과체중이지만, 고혈압·당뇨 진단 없음
  • 마운자로를 비만 목적 단독으로 원함

💡 이런 경우, 의사 입장에서 **‘의학적 처방 사유 부족’**으로 볼 수 있습니다.


🏥 실제로 처방 잘 해주는 병원의 특징

  • 비만 특화 클리닉 또는 GLP-1 처방 경험 많은 내과
  • 건강검진 기록이나 자가증상 기반으로 대사질환 병력 확인 후 처방 진행
  • 마운자로 대신 위고비 또는 삭센다 등 허가된 약물 추천
  • 처방 기준 명확히 설명 + 필요 시 혈액검사로 진단 보조

✅ 포인트: "당장 처방해준다"는 곳보다, 기준을 설명해주는 병원이 신뢰도 높습니다.


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BMI만 27 넘으면 무조건 위고비 처방 가능한가요?

  • 아니요. BMI 27~29는 대사성 질환 1개 이상 동반 시에만 처방 가능합니다.
  • BMI 30 이상이면 별도 질환 없어도 처방 가능

Q2. 당뇨가 없으면 마운자로 처방 못 받나요?

  • 네. 2025년 현재 국내에서는 마운자로는 ‘당뇨병 치료제’로만 허가되어 있으며,
    단순 비만 목적 처방은 불가능합니다.

Q3. 병원 따라 처방 기준이 다른가요?

  • 처방 기준 자체는 같지만,
    의사의 판단과 경험에 따라 적용의 폭이 다릅니다.
  • 보수적인 병원은 위험 회피를 위해 조건이 애매할 경우 처방을 거절할 수 있습니다.

✅ 마무리 요약

  • 위고비는 BMI 30 이상이거나, 27 이상 + 대사질환 동반 시 처방 가능
  • 마운자로는 현재까지는 당뇨병 환자만 처방 가능
  • 체중만으로 처방이 안 되는 경우, 건강검진 기록·혈액검사·증상 진술이 도움이 될 수 있음

👉 처방받고 싶다면,
조건 충족 여부 + GLP-1 처방 경험 있는 병원인지를 먼저 확인하세요.
“안 해준다”는 말보다, 왜 안 되는지를 설명해주는 병원이 신뢰할 수 있습니다.

댓글 쓰기

0 댓글

이 블로그 검색

태그

신고하기

이미지alt태그 입력